본문 바로가기
Life 리뷰/나만의 모든 정보

닌텐도 스위치 2 조이콘 불량, ZL ZR 버튼 안눌리는 현상 초기 불량 테스트 확인 방법

by 젤다07 2025. 6. 9.

 

닌텐도 스위치 2가 출시되면서 많은 유저들이 업그레이드된 화면, 성능, 디자인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조용히 논란이 되는 조이콘 초기 불량 문제, 그중에서도 조이콘 ZL ZR 불량 사례들이 하나둘씩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불량 문제와 조이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시 불거지는 드리프트 논란


닌텐도 스위치 2가 출시되며 기대를 모았지만, 조이콘 드리프트 문제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드리프트란 스틱을 조작하지 않아도 캐릭터가 움직이는 현상으로 iFixit의 분석에 따르면 스위치 2 조이콘의 내부 센서 구조는 1세대와 유사해 여전히 포텐셔미터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조적으로 드리프트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며, 닌텐도 역시 이를 인지해 무상 교체 서비스를 예고한 상태입니다. 사용자는 설정 메뉴에서 스틱 보정 기능을 활용해 테스트하거나, 게임 내에서 조작 반응을 확인해 드리프트 여부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스틱에 과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먼지를 차단하는 보관이 중요하며 문제가 확인될 경우 초기 7일 이내 판매처 교환 또는 닌텐도 A/S를 통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ZL ZR 버튼 불량 증상


닌텐도 커뮤니티나 유튜브 후기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불량 사례 중 하나가 바로 ZL 또는 ZR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ZL을 눌러도 인식이 안 되나 반대로 ZR은 잘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으로는 누르는 위치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는 증상인데요. 정중앙을 눌렀을 때는 인식이 안 되고, 가장자리로 눌렀을 때만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연타 시 입력이 누락되는 경우입니다. 빠르게 누르면 반응하지 않거나, 일정 간격마다 미입력 증상이 발생됩니다. 이 문제는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데 실사용 중에 불편함을 주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초기 불량이라는 점에서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300x250

 


Joy-Con 버튼 확인하는 방법


ZL ZR을 포함한 모든 버튼은 직접 눌러보고 테스트해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시스템 설정 버튼 테스트  설정 → 컨트롤러와 주변기기 →입력 디바이스 동작 체크 → 버튼동작 체크로 이동

 


각 버튼을 눌러보면 화면에 눌린 버튼 이름이 표시됩니다. 

 

300x250

 

게임 플레이로 실사용 테스트하기  ZL ZR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려면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게임에서 플레이해 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마리오카트, 스플래툰, 젤다의 전설과 같은 게임에서는 Z버튼이 조준, 브레이크, 무기 전환 등 다양한 기능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지, 연속 입력 시 반응이 누락되거나 지연되지 않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테스트 결과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초기 교환이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입니다. 제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라면, 닌텐도 고객센터보다 구매처를 통한 교환 요청이 더 빠르고 간편하게 진행됩니다. 

 

또한 조이콘 불량 테스트 장면은 스마트폰으로 영상 촬영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ZR과 문제가 있는 ZL을 비교하여 촬영하면, 교환이나 수리 과정에서 유용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커뮤니티 후기와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닌텐도 스위치 2 조이콘 불량 사례가 실제 사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ZL ZR의 작동 불량 같은 문제는 겉으로는 쉽게 드러나지 않아 자칫 놓치기 쉬운 초기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 직후에는 번거롭더라도 모든 버튼과 스틱의 작동 상태를 꼼꼼히 점검해 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문제가 의심되거나 이상이 발견되었다면, 구입 후 7일 이내에는 판매처 교환을, 그 이후에는 닌텐도의 무상 A/S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응 방법입니다. 기기를 오래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기 점검과 빠른 조치가 가장 좋은 시작입니다.

 
 
 

 

 

 

300x250
728x90